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

교육훈련의 의의와 프로세스 1. 교육훈련 의의교육훈련(training & development)이란 구성원들이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구성원들의 지식과 기술,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 체계적인 과정을 말한다. 2. 교육훈련 프로세스교육훈련은 ① 교육훈련 수요조사, ② 교육훈련 설계, ③ 교육훈련 실시, ④ 교육훈련 평가의 순서로 진행된다. (1) 교육훈련 수요조사(=교육계획 수립의 필요성 분석)교육훈련의 목표는 곧 조직 목적의 달성이다. 따라서 조직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이 어떤 교육훈련이 필요한지 수요조사를 해야 한다. 교육훈련의 수요조사는 조직수준, 직무수준, 개인수준 각각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1) 조직수준의 수요분석교육훈련 수요조사를 위해서 먼저 조직 수준에서 어떤 교육훈련이 필요한지 파악해야 한다. 조직 전체.. 2022. 7. 1.
취업규칙의 변경에 있어서 불리 여부의 판단기준, 불리하지 아니한 취업규칙의 변경, 불리한 취업규칙의 변경에 관하여 논하시오. (30점) 1. 취업규칙의 의의 취업규칙이란 근로자가 사업장에서 지켜야할 복무규율과 근로조건에 관해 작성한 규범이다. 근로기준법 제93조는 "상시 1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취업규칙을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하며, 이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고 규정하고 있다. 2. 취업규칙의 변경 (1) 취업규칙 변경의 의의 근로기준법 제94조는 “사용자는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관하여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다만,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2) 불리하지 아니한 취업.. 2022. 6. 29.
직장 내 괴롭힘의 의미와 발생 시 조치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0점) 1. 직장 내 괴롭힘의 개념 직장 내 괴롭힘의 개념은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 ∙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 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이다. 2. 직장 내 괴롭힘의 성립 요건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하는지는 당사자 간의 관계, 행위의 내용 및 정도, 행위가 행해진 장소 및 상황, 행위가 일회적 또는 단기간의 것인지 또는 계속적인 것인지 여부 등의 구체적인 사정을 참작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1) 행위자 측면 사용자뿐만 아니라 근로자도 해당 법상 직장 내 괴롭힘의 행위자가 될 수 있다. (2) 행위 측면 문제되는 행위가 ①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할 것, ②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을 것, ③.. 2022. 6. 29.
조직문화의 개념, 순기능 및 역기능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0점) 1. 조직문화의 개념 조직문화란 조직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신념, 관습 등 정신적인 가치를 말한다. 조직문화는 기존 구성원들 사이에서 아무런 의심 없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새로운 구성원들에게는 조직의 대내적 또는 대외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조직 입장에서 올바른 방법으로 학습되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2. 조직문화의 기능 (1) 조직문화의 순기능 ① 행동지침의 제공: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이 행동을 하는 데 있어 지침의 역할을 한다. ② 단합 및 조직 몰입의 강화: 강한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단합을 공고히 하고, 내부 구성원 사이의 동질성을 높이며, 그들의 이직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③ 환경 적응의 강화: 조직문화는 구성원들로 하여금 조직의 특성과 강 ∙ 약점을 파악할 수.. 2022.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