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지도사 (인적자원관리) 기출/인사관리

전직지원제도의 개념을 설명하고, 전직지원제도가 퇴직자 및 잔류구성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064032 2022. 6. 21. 21:31

1. 전직지원제도(outplacement: OPC)

(1) 전직지원제도(=퇴직준비제도, 퇴직지원제도)의 의의

  전직지원제도(outplacement system)는 기업이 고용조정에 따라 정리해고 될 사람들이나 해고된 퇴직자들이 해고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창업이나 직무탐색, 즉 다른 직장을 찾도록 지원해주는 체계적인 지원 서비스 제도를 말한다.

  전직지원 서비스의 주요내용으로는 퇴직예정자 및 퇴직자의 진로상담, 구직정보제공 및 직장알선, 재취업을 위한 전직교육, 창업상담 및 교육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카운슬링, 스트레스 관리 등 심리적 지원과 개인적 활동과 관련된 지속적인 후원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된다.

 

(2) 전직지원제도의 효과

(가)  근로자

(ㄱ)  퇴직자

퇴직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 스트레스 등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② 전문적 지원으로 퇴직자에게 적합한 진로의 방향성을 정립해 줄 수 있다.

③ 기업에 대한 반감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다.

 

(ㄴ)  잔류구성원

잔류구성원에게는 ① 조직에 대한 신뢰회복, ② 생산성 향상, ③ 조직몰입 증가의 효과 등을 줄 수 있다.

 

(나)  기업

①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및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다.

② 잔류종업원의 심리적 불안감 최소화 및 근로 의욕을 유지할 수 있다.

③ 노사협의시 협상력이 증대하고 퇴직자들로부터 개인적 ∙ 집단적 소송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다)  정부

① 노사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예방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② 인재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전사회적 낭비를 줄일 수 있다.

③ 퇴직자들이 빠른 기간 내에 재취업 ∙ 창업을 함으로써 고용보험료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2. 잔존자 지원제도(inplacement: IPC)

(1) 잔존자 지원제도(잔류자 지원제도)의 의의

Outplacement를 목격한 기업 내 잔류자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경력관리 및 교육훈련, 기타의 지원프로그램을 말한다.

 

(2) 잔존자 지원제도의 필요성 및 효과

(가)  기업 측면

 IPC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

② 노사관계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나) 근로자 측면

OPC를 통해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한 근로자들의 공정성 지각 및 심리적 안정감 유지 측면에서 중요하다.

② 잔류종업원들의 사기진작으로 자발적 이직 ∙ 결근율 감소, 제품 불량률의 감소, 생산비용의 절감을 가져온다.

 

[참고 교재]

신인적자원관리 (김영재, 김성국, 김강식 저) [제5판]